BricQ Motion Prime
공 맞히기
스포츠를 더 잘 하는 방법 중 하나가 바로 스포츠 뒤에 숨어있는 과학을 이해하는 것이에요. 이제부터 힘과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도를 적용하여 공 맞히기 게임을 만들어볼 거예요.
45-90분
고급
초3-중3학년
준비
- 온라인 학생용 자료를 검토하세요. 수업 중에 프로젝터를 사용하여 이 자료를 학생들과 공유하세요. 이 수업은 45분 수업을 최소 2번에 걸쳐 진행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파트 A는 1차시에 해당하고, 파트 B는 2차시에 해당합니다.
- 이전 수업에서 뉴턴의 세 가지 운동 법칙을 다루었는지 확인하세요.
- 모든 학생의 능력과 배경을 고려하세요. 모두가 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수업을 차별화하세요. 아래의 차별화 섹션에 제시된 제안 사항을 참조하세요.
파트 A (45분)
착수
(학급 전체, 5분)
- 학생용 비디오를 여기에서 보거나 온라인 학생용 자료를 통해 액세스하세요.
- 공 맞히기 게임에서 하나의 공을 다른 공에 충돌시키는 데 어떤 힘이 필요한지, 그로 인한 힘의 벡터가 어떻게 움직임에 영향을 미치는지, 플레이어가 어떻게 힘, 상호작용, 각도 등에 대한 지식을 활용하여 득점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해 간단히 토의를 진행하세요.
- 이러한 질문을 던져보세요.
- 비디오에서 본 볼 게임은 다른 데서 보았던 게임과 어떻게 다른가요? (공 하나를 다른 공에 충돌시켜 포켓에 넣으면 점수를 얻어요.)
- 두 개의 공이 서로 다른 각도에서 충돌하면 어떻게 되며, 왜 그런 현상이 발생하나요? (뉴턴의 세 번째 법칙: 크기가 같고 상반되는 힘)
- 비디오의 충돌 장면을 보고 무엇을 알 수 있었나요? (공이 서로 부딪치는 것을 “탄성 충돌”이라고 해요. 공이 단단할 경우 공이 운동 에너지/움직임의 [상당한] 손실 없이 서로 튕겨져 나가요.)
- 학생들에게 여러 각도에서 공 하나를 다른 공에 충돌시켜 포켓에 넣고 득점을 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설계할 것이라고 말해 주세요.
탐구
(소규모 팀, 30분)
- 학생들이 2명씩 팀이 되어 경기장을 조립하게 하세요.
- 과제 설명:
- 학생들에게 포켓에 공을 넣는 방식의 경기장에서 사용할 공 맞히기 메커니즘을 디자인해야 한다는 것을 말해 주세요.
- 채점 기준 설명:
- 포켓 1 (2점)
- 포켓 2 (4점)
- 공 “A”로 공 “B”를 맞히고 양쪽 포켓에 모두 공을 하나씩 넣음 (6점)
- 공이 하나도 포켓*(녹색 프레임)*에 들어가지 않을 경우 득점 없음
- 일단 경기장에 놓인 후에는 공에 손을 대는 것이 허용되지 않음
- 공 맞히기 메커니즘이 파란색 패널에 연결되어야 하고*(긴 십자 축을 미니 당구 큐처럼 사용해서는 안 됨)*, 최소 두 개 이상의 구동 부품이 있어야 함
- 학생들에게 해결해야 할 문제를 토의한 후, 조립을 시작하기에 앞서 아이디어를 몇 가지 스케치하고 이름을 붙이게 하세요.
- 연필과 종이를 이용해 아이디어를 스케치해도 좋고, 브릭을 이용해 3-D “스케치”를 해도 좋아요.
설명
(학급 전체, 5분)
- 학생들을 한데 모은 다음, 아이디어에 대한 검토와 토의를 진행하세요.
- 이러한 질문을 던져보세요.
- 모델이 공을 어떻게 밀어낼까요?
- 조립 가이드북의 어느 모델이 영감을 주었나요?
- 어떤 부분이 스케치와 동일한가요? 어떤 부분이 다른가요?
- 무엇을 바꿀 수 있을까요?
- 학생들에게 다음 수업 중에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조립된 모델을 상자 안에 보관하게 하세요. 만일 세트를 다른 수업에서 사용할 예정인 경우, 모든 모델의 사진을 찍어 두고 학생들에게 모델을 분해하게 하세요. 다음 수업 중에 다시 조립하고 개선하는 과정에서 모델이 한층 더 나아질 거예요!
파트 B (45분)
착수
(학급 전체, 5분)
- 파트 A에서 학생들이 작업한 스케치, 사진 및/또는 모델을 나누어 주세요.
- 학생들에게 모델을 다듬고, 개선하고, 완성하기 위해 오늘 계획하고 있는 것을 공유하게 하세요.
- 원활히 진행이 되지 않고 막힐 경우, 다른 팀에게 조언을 구해볼 것을 권장하세요. 현실 세계에서도 엔지니어와 디자이너가 서로의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살을 덧붙이곤 하거든요. 조립 가이드에서 영감을 얻는 것도 괜찮은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