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련 캠프 2: 물체 다루기
센서를 이용해 모터를 제어하고 경진대회 경기장에 배치된 물체와 상호작용하는 방법을 알아 보세요.
![lesson-header](https://assets.education.lego.com/v3/assets/blt293eea581807678a/blt48ef3d2e76033397/61122927ac7fb61a3678eb0f/lesson-header.png?locale=ko-kr&auto=webp&format=jpeg&width=500&quality=90&fit=bounds)
수업 계획
1. 준비
- 레고® 에듀케이션 스파이크™ 앱의 학생용 자료를 읽으세요.
2. 착수(5분)
- 학생들에게 아래 토의 시작 섹션의 아이디어를 이용해 이 수업과 관련된 토의를 시작하게 하세요.
- 비디오를 이용해 수업의 개요를 설명하세요.
3. 탐구(20분)
- 학생들에게 2인 1조로 연습용 드라이빙 베이스, 팔, 표지판 및 큐브를 조립하게 해 보세요.
- 학생들에게 두 가지 프로그램 꾸러미를 시험해보고 어느 것이 드라이빙 베이스를 표지판 앞에서 멈추게 하는지 알아보게 해 보세요.
- 학생들에게 프로그래밍 블록을 드라이빙 베이스에 추가하여 드라이빙 베이스가 표지판으로부터 최소 30cm 이상 떨어진 곳에 있는 정육면체에 접근한 후 팔을 내려 큐브를 수거해 가지고 돌아오도록 만들게 해 보세요.
4. 설명(5분)
- 거리 센서를 이용해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 토의를 진행해 보세요.
5. 다듬기(15분)
- 학생들에게 계주를 완료하고 어느 팀이 가장 빠른지 알아보게 해 보세요.
- 뒷정리를 위한 약간의 시간을 남겨두는 것을 잊지 마세요.
6. 평가
- 학생 개개인의 성과에 대해 피드백을 해주세요.
- 활동평가표를 사용하면 프로세스를 단순화할 수 있습니다.
토의 시작
이 아이디어를 활용하여 학생들에게 경진대회 로봇에 대해, 그리고 어떻게 물체를 찾아내고 옮길 수 있을지에 대해 토의를 시작하게 해 보세요.
- 학생들에게 로봇이 물체를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옮기는 장면을 어떻게 보았는지를 설명하게 해 보세요.
- 학생들에게 드라이빙 베이스가 센서를 이용해 물체를 탐지하고 여분의 모터와 팔을 이용해 물체를 수거할 수 있다는 점을 말해주주세요.
- 학생들에게 자율 로봇 프로그래밍의 개요를 설명해주세요. 학생들에게 자율 모드가 경진대회 목적상 어째서 중요한지 물어 보세요.
학생들에게 비디오를 보여주고 활동의 개요를 파악하게 하세요.
![lesson-header](https://assets.education.lego.com/v3/assets/blt293eea581807678a/blt48ef3d2e76033397/61122927ac7fb61a3678eb0f/lesson-header.png?locale=ko-kr&auto=webp&format=jpeg&width=1800&quality=90&fit=bounds)
조립 요령
거리 센서가 장착된 단순한 드라이빙 베이스
거리 센서가 장착된 단순한 드라이빙 베이스를 사용해 보세요. 케이블 클립을 사용하는 것을 잊지 마세요.
![teacher-driving-base](https://assets.education.lego.com/v3/assets/blt293eea581807678a/bltb0da75f31fd8dc80/5ec8e6810482bd7de694a5f3/teacher-driving-base.png?locale=ko-kr&auto=webp&format=jpeg&width=1800&quality=90&fit=bounds)
거리 센서와 팔
팔을 충분히 들어올려(너무 많이 들지는 말고요) 팔이 정육면체 위로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팔을 너무 높이 들면 거리 센서의 작동을 방해하게 됩니다.
![teacehr-too-high](https://assets.education.lego.com/v3/assets/blt293eea581807678a/bltaf9b3e1f5217546c/5ec8e67c5b71b945b121370e/teacehr-too-high.png?locale=ko-kr&auto=webp&format=jpeg&width=1800&quality=90&fit=bounds)
계주 챌린지 설정
드라이빙 베이스와 표지판 사이의 거리를 약 30cm 정도로 설정하고 출발해 보세요.
드라이빙 베이스가 배턴을 수거해 오는 대로 학생들이 배턴을 손으로 분리하여 다음 것을 수거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합니다.
![teacehr-relay](https://assets.education.lego.com/v3/assets/blt293eea581807678a/blt1149e14bfc1df4db/5ec8e67b857d582712bdd610/teacehr-relay.png?locale=ko-kr&auto=webp&format=jpeg&width=1800&quality=90&fit=bounds)
코딩 요령
기본 프로그램
가능한 해결법
기타 프로그램
차별화
수업을 단순화하는 방법:
- 잠시 시간을 내어 거리 센서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해 보세요.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이 수업을 다음 단계로 진행해 보세요.
- 물체와의 상호작용을 연습하기 위한 목적으로 물체를 바꿔가며 새로운 챌린지를 만들어보세요(예: 학생들에게 거리 센서를 이용해 블록을 시작 위치로 되돌리라는 과제를 주세요).
평가 기회
교사 관찰 체크리스트
교사의 요구 사항에 부합하는 척도를 만드세요(아래 예 참조).
- 부분적으로 달성됨
- 완전하게 달성됨
- 초과 달성됨
아래의 성공 기준을 이용해 학생들의 진척도를 평가하세요.
- 학생들이 프로그램을 확장하여 물체를 수거할 수 있다.
- 학생들이 거리 센서를 이용해 물체를 탐지하고 수거할 수 있다.
- 학생들이 거리 센서 블록의 파라미터를 변경하여 상이한 거리를 탐지할 수 있다.
자기 평가
학생 개개인에게 자신의 성과를 가장 잘 나타낸다고 생각되는 브릭을 선택하게 하세요.
- 파란색: 거리 센서를 이용해 물체를 탐지하고 수거했다.
- 노란색: 계주 챌린지를 성공적으로 완료했다.
- 보라색: 계주 챌린지를 성공적으로 완료했고 정말 빠른 시간 기록을 달성하도록 프로그램을 최적화했다.
피어 리뷰
다음과 같이 학생들에게 서로 피드백을 제공할 것을 장려해 주세요.
- 한 학생이 위의 색 브릭 척도를 사용하여 상대방의 성과에 대해 점수를 매기게 하세요.
- 다음 수업 중에 그룹의 성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서로에게 건설적인 피드백을 제시하게 하세요.
![student-06](https://assets.education.lego.com/v3/assets/blt293eea581807678a/blt268af991dd038e84/61122b5e7b2aa336d6ba3da8/student-06.png?locale=ko-kr&auto=webp&format=jpeg&width=1800&quality=90&fit=bounds)
국어교과 확장
국어교과 기술 계발 요소의 통합:
- 학생들에게 게임을 새로 디자인하고 자신만의 규칙을 개발하게 해보세요. 학생들에게 규칙을 기록하고 관련 이미지를 표시하게 해 보세요. 팀 대항 챌린지를 실시해 보세요.
참고: 이렇게 할 경우 수업이 더 길어집니다.
수학 확장
수학 기술 계발 요소의 통합:
새로 게임을 디자인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에게 다음 요소를 이용해 특정 값보다 크거나(>) 작은(<) 숫자의 사용을 극대화하게 해 보세요.
- 거리 센서 값
- 반사광 센서 값
- 자이로 센서의 회전 각도 값
참고: 이렇게 할 경우 수업이 더 길어집니다.
진로 연결
이 수업이 즐거웠던 학생이라면 아마 다음과 같은 진로 경력개발 영역에 대해서도 관심이 있을 것입니다.
- 정보 기술(게임 프로그래밍)
- 제조 및 공학(기계 기술)
- 제조 및 공학( 예비 엔지니어링)
교사 지원
학생 과제:
- 추정값을 이용해 물체 바로 앞에서 멈춰 보세요.
- 거리 센서를 이용해 물체를 탐지하고 대응해 보세요.
레고 에듀케이션 스파이크 프라임 세트
[4수03-12] [6수04-04] [9과24-02] [6실04-08] [6실04-09] [6실04-10] [6실04-11] [6실05-07] [9기가04-10] [9정03-01] [9정03-02] [9정03-03] [9정03-04] [9정04-01] [9정05-02] [4국01-04][4국01-05][4국01-06][6국01-01][6국01-02][6국01-04] [4도02-04][6도04-01][9도04-02]
자기관리역량 지식정보처리역량 창의적 사고 역량 심미적 감성역량 의사소통 역량 공동체역량